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한국판 (K-ICQ)을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번역, 역번역 번안과정을 거친 도구를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진 5 요인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요인 (관계 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갈등 관리)은 미국에서 발견된 요인들과 유사하였고 나머지 2개의 요인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자기개방)은 한국의 대인관계 문화를 …
한국판 사회적 유능성 척도 (K-ICQ: K-Interpersonal Competence …
Jun 15, 2024 · 척도 소개 한국판 사회적 유능성 척도는 대인관계적인 측면에서의 사회적 유능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작성된 척도사회적 유능성이란 개인이 환경적 상황 하에서 사회적으로 효과적인 반응방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 한국판 사회적 유능성 …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한국판 (K-ICQ)을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번역, 역번역 번안과정을 거친 도구를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진 5 요인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요인 (관계 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갈등 관리)은 미국에서 발견된 요인들과 유사하였고 나머지 2개의 요인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자기개방)은 한국의 대인관계 문화를 …
Smartphone Addi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
Although the ICQ comprises 40 items and 5 subscales, the K-ICQ consists of 31 items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1 as ‘totally disagree’ to 5 as ‘totally agree’) and five subscales determined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논문]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한국판 (K-ICQ)을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번역, 역번역 번안과정을 거친 도구를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진 5 요인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3개의 요인 (관계 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갈등 관리)은 미국에서 발견된 요인들과 유사하였고 나머지 2개의 요인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자기개방)은 한국의 대인관계 문화를 …
[논문]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과 갈등 상황에서의 인지 및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k-icq)를 타당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인관계 유능성 수준의 상·하집단이 대인 갈등 상황에서 어떤 차별적인 반으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한국판 단축 공감척도(EQ short-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확인하여 한국의 간호 영역에 서 활용될 수 있는 공감척도로서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판(K-ICQ)을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번역, 역번역 번안과정을 거친 도구를 대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 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31문항으로 이루어진 5 요인이 도출되었다. 구체 적으로, 3개의 요인(관계 형성 및 개시, 권리나 불쾌함에 대한 주장, 갈등 관리)은 미국에서 발견된 요인들과 유사하였고 나머지 2개의 요인(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자기개방)은 한 국의 대인관계 문화.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구 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경로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를 위해 대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자기수용 척도, 공감 척도, 대인관계 유능 성 척도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수용과 대인 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
대인관계능력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지사ㆍ교보문고 스콜라
본 연구는 국내 대인관계능력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대인관계능력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CI에 등재된 국내 대인관계능력 연구 45편을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연구변인,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판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이후 대인관계능력 연구가 점차 증가했으며 2015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절반 이상으로 가장 …
- Some results have been removed